본문 바로가기

LearnningPython3

머신러닝 배우기 전 보는 기초 통계(통계 분석 & 방법)(교육통계) CR(Z) 검정 의미 z검정은 모수 통계로 어떤 집단의 특성이 특정수와 같은지 혹은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통계적 방법으로, 사례 수가 ‘30~40 이상’은 되어야 함 조건 종속변수가 양적변수 종속변수에 대한 모집단 분포가 정규분포 두 집단 비교일 경우, 두 모집단 분포가 동일 모집단의 분산을 알고 있어야 함 유형 단일표본 Z 검정 모집단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알고 있을 때, 모집단의 속성을 특정 ‘한 집단’의 속성과 비교하는 경우 ex) 전국 초등학생의 IQ 평균과 표준 편차를 알 때 두 독립표본 Z 검정 두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들이 ‘상호독립적’이고, 두 모집단의 분산을 알고 있을 때 ‘두 집단 간’ 차이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사용 ex ) 초등학교 남학생과 여학생의 어휘 능력 비교 두 .. 2022. 10. 30.
머신러닝 배우기 전 보는 기초 통계(규준 점수 & 추리통계)(교육통계) ▶ 규준 점수 측정을 통하여 나온 점수를 원점수, 이 점수를 비교해 보는 기준을 규준이라고 하며 이와 같은 규준에 비추어 나온 점수를 규준 점수라고 함. 표준점수 - 통계적 절차를 통하여 원점수를 표준 편차 단위로 일괄적으로 변화시킨 것 - 가장 신뢰성 있고 유용한 척도로서 절대영점과 동간 성이 있어 가감승제 가증 Z 점수 T 점수 C 점수 표준점수의 가장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값 +값, -값, 소수점의 값이 나올 수 있음 점수의 부호는 평균(M=0)을 중심으로 한 상대적인 위치 Z점수의 단위는 표준 편차 Z점수의 분포 형태는 원점수의 분포 형태와 일치 (-)부호나 소수점이 나오지 않아 계산이 편리(Z 점수 보완) 신뢰성 있는 점수이며 널리 사용 점수의 분포 :20~80 - 신뢰도가 부족할 시 대략적인 표.. 2022. 10. 30.
머신러닝 배우기 전 보는 기초 통계(집중 경향치 & 변산도)(교육통계) ▶ 집중 경향치 : 한 분포에 들어 있는 여러 수치를 종합적으로 대표하는 수치, 한 분포가 어떤 경향으로 되어있는지 기술·파악 최빈치(Mode) 중앙치(Median) 평균치(Mean) 개념 한 분포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점수, 표본에 따라 하나 이상 나올 수 있다. 한 분포의 수치들은 낮은 데서부터 높은 순서로 배열했을 때 중간에 나오는 수치 한 분포의 모든 점수의 합을 사례 수로 나눈 것 용도 집단의 중심적 경향을 대강 짐작하고 싶을 때 주로 명명 변인(서울, 대전, 대구 부산과 같은) 대상으로 사용 다른 집중경향을 계산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서열, 동간, 비율 측정치의 자료일 때 분포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관심이 있을 때 평균을 구할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고 분포가 심하게 편중될 때 양극단의 점.. 2022. 10. 30.